티스토리 뷰
목차
“자취하는 동생도 공제 받을 수 있을까?”
“형제가 둘인데, 누가 공제하는 게 유리하지?”
연말정산 시즌이면 형제자매 공제 가능 여부에 대한 질문이 폭주합니다.
많은 분들이 부모님이나 자녀 공제는 잘 알지만, 형제자매는 헷갈려서 놓치기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연말정산에서 형제·자매를 부양가족으로 등록할 수 있는 조건, 소득·나이 요건, 유의사항, 예시까지 정리했습니다.
단 한 줄이라도 제대로 이해하면, 수십만 원 환급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형제자매도 부양가족 공제가 가능할까?
네, 가능합니다.
단,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1. 관계 요건
- 형, 누나, 동생 모두 가능
- 배우자의 형제자매는 불가능
✅ 공제 가능한 관계:
→ 본인의 형, 누나, 동생, 남매, 자매 등
❌ 배우자의 형제자매는 공제 불가
✔️ 2. 소득 요건
- 연간 총소득 100만 원 이하 (근로소득만 있을 경우 총급여 500만 원 이하)
예시:
- 동생이 연 90만 원 알바 소득 → 공제 가능
- 형이 연 600만 원 회사 급여 → 공제 불가
✔️ 3. 나이 요건
- 만 20세 이하 또는 만 60세 이상만 가능
- 단, 장애인은 나이 제한 없음
예시:
- 19세 동생: 공제 가능
- 22세 대학생 동생: 나이 초과 → 공제 불가
- 65세 형: 공제 가능
- 장애인 등록된 형제: 나이 상관없이 공제 가능
📌 실제 예시로 이해해보는 형제자매 공제
💬 사례 1:
"내 동생은 18세 고등학생이고, 아르바이트로 한 달에 30만 원 벌고 있어요. 공제 가능할까요?"
🔍 분석
- 나이: 만 20세 이하 → ✅
- 소득: 월 30만 원 × 12개월 = 360만 원
→ 근로소득 총급여 500만 원 이하 → ✅
👉 공제 가능
💬 사례 2:
"누나는 62세인데 퇴직하고 현재 소득이 없습니다. 공제되나요?"
🔍 분석
- 나이: 만 60세 이상 → ✅
- 소득: 없음 → ✅
👉 공제 가능
💬 사례 3:
"동생이 24살 대학생인데, 소득은 없어요. 같이 살고 있어요."
🔍 분석
- 나이: 만 20세 초과 → ❌
👉 공제 불가
💬 사례 4:
"형이 40대인데 장애인 등록되어 있고, 소득이 없습니다."
🔍 분석
- 장애인: ✅ (나이 제한 없음)
- 소득: 없음 → ✅
👉 공제 가능
✅ 공제는 한 명만 받을 수 있다
형제자매 1명을 여러 명이 중복 공제할 수 없습니다.
가족 중 한 명만 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누가 공제받는 게 절세 효과가 큰지 계산 후 결정하세요.
예:
형제가 2명인데 둘 다 어머니를 공제하려고 하면 안 됩니다.
→ 둘 중 소득이 높은 사람이 공제하는 게 유리
✅ 공제 준비를 위한 서류
- 가족관계증명서: 형제자매임을 증명
- 소득 없음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 (근로소득 원천징수 없음을 보여줄 수 있음)
- 장애인의 경우: 장애인등록증 사본
- 생활비 지원 증빙(필요 시): 통장 이체 내역 등
✅ 유의사항 요약
항목 | 조건 |
관계 | 본인의 형제자매만 가능 (배우자 X) |
소득 | 총소득 100만 원 이하 (근로소득만 있을 경우 총급여 500만 원 이하) |
나이 | 만 20세 이하 또는 만 60세 이상 (장애인은 예외) |
중복 공제 | 불가 (가족 간 협의 필요) |
🎯 형제자매 공제, 전략적으로 활용하자
형제자매 공제는 잘 모르면 놓치기 쉽지만, 요건만 잘 충족된다면 부모 공제 못지않은 절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특히 고령의 형제자매나 장애 등록이 된 경우, 학생 신분의 미성년 동생 등이 해당될 수 있으니 꼭 확인해보세요.
📌 마무리 체크리스트
✅ 형제자매와의 관계 증명 (가족관계증명서)
✅ 나이와 소득 조건 충족 여부 확인
✅ 중복 공제 여부 조율
✅ 장애 여부 확인 시 우선 검토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자료 확인
'아는게 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기부금 세액공제 완벽 정리: 공제율부터 기부처별 차이, 기부금 종류까지 예시로 설명! (1) | 2025.05.02 |
---|---|
연말정산 의료비 공제 총정리: 공제되는 항목과 안 되는 항목, 실손보험 처리 시 유의사항까지! (2) | 2025.05.02 |
연말정산 부양가족 공제 총정리: 부모, 자녀, 형제도 가능한 조건은? (0) | 2025.05.02 |
연말정산 많이 받는 방법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어떻게 써야) (0) | 2025.05.02 |
상소, 항소, 항고, 항소, 파기환송, 파기자판, 기각 뜻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