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개인연금(IRP) 계좌는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장기 투자 상품이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목표로 하는 ETF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만, 저는 특정 금융 상품을 직접 추천할 수 없습니다. 금융 상품 투자는 개인의 투자 성향, 위험 감수 능력, 은퇴 시점 및 목표 수익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IRP 계좌 투자 시 고려할 사항
- 위험자산 한도: IRP는 적립금의 **70%**까지만 위험자산(주식형 ETF 등)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30% 이상은 채권형 ETF, 예금 등 안전자산으로 운용해야 합니다.
- 투자 가능 ETF: 국내 상장된 ETF만 투자 가능하며, 레버리지/인버스 ETF나 파생상품 위험평가액 비중이 40%를 초과하는 ETF는 투자할 수 없습니다.
📈 IRP에서 인기 있거나 고려할 만한 투자 유형 (예시 티커 포함)
투자자들의 선호도가 높고 장기 투자가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몇 가지 ETF 유형과 그 예시 티커를 제시해 드립니다. 이 티커들은 추천 종목이 아니라, 해당 유형을 대표하는 예시입니다.
| 구분 | 투자 대상/전략 | 예시 티커 (AUM/거래량 고려) | 특징 및 고려사항 |
| 1. 국내 대표 주가지수 추종 (위험자산) | KOSPI 200 지수 추종 | KODEX 200 (069500) | 국내 주식시장 대표 지수. 분산 효과, 비교적 낮은 보수. |
| 2. 해외 선진국/글로벌 주식 (위험자산) | S&P 500 또는 나스닥 100 지수 추종 (국내 상장) | TIGER 미국S&P500 (360750) | 장기적으로 우상향한 미국 주요 시장 대표 지수. 환노출/환헤지 상품 중 선택 가능. |
| 3. 장기 국채 (안전자산 충족) | 국고채 10년 이상 지수 추종 | KODEX 국고채30년액티브 (309080) | 주식 시장과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 위험자산의 변동성을 완화하는 역할 (자산 배분). 장기 채권은 금리 변동에 민감. |
반드시 투자하시려는 금융회사(증권사/은행)의 IRP 계좌에서 해당 티커의 매매가 가능한지 확인하시고, 상품설명서 등을 충분히 숙지 후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아는게 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기온별 러너 옷차림, 온도별 러닝 코디 (0) | 2025.11.18 |
|---|---|
| 태풍상사 대본 작가·연출진 인터뷰로 본 제작 비하인드 (0) | 2025.10.12 |
| 메타버스 유망 직업 총정리 (0) | 2025.09.14 |
| 아이폰 vs 갤럭시 2025 최신 비교 (0) | 2025.09.09 |
| 시간관리 고수들의 7가지 비밀습관 (0) | 2025.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