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돈 굴리는 똑똑한 방법, 리밸런싱 쉽게 마스터하기 투자를 시작했는데 도통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특히 '리밸런싱'이란 단어는 들어봤지만 실제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는 분들이 많으시죠. 오늘은 리밸런싱의 개념부터 실제 적용 방법까지 아주 쉽고 상세하게 알려드릴게요. 이 글을 읽고 나면 여러분도 전문가처럼 자산을 관리할 수 있을 거예요!
📌 1년에 딱 한 번만 해도 수익률 2배 차이! 전문가들이 절대 놓치지 않는 투자 비법 ☞ 리밸런싱으로 수익률 높이는 법
여러분의 소중한 자산, 방치하면 손해예요! 리밸런싱을 통해 위험은 줄이고 수익은 높이는 투자 전략,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리밸런싱이 뭐길래? 쉽게 이해하기
리밸런싱은 어려운 개념이 아니에요. 쉽게 말해 처음에 정한 투자 비율로 다시 맞추는 작업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처음에 주식 60%, 채권 40%로 투자했다고 가정해볼게요. 시간이 지나면서 주식 가격이 많이 올라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주식이 70%, 채권이 30%가 되었다면, 이를 다시 원래 비율인 60:40으로 맞추는 것이 바로 '리밸런싱'입니다.
왜 이런 작업이 필요할까요? 간단해요. "비싸게 팔고 싸게 사는" 투자의 기본 원칙을 자동으로 실천하게 해주기 때문이죠. 가격이 오른 자산(주식)은 일부 팔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덜 오른 자산(채권)은 더 사서 균형을 맞추는 겁니다.
리밸런싱의 놀라운 효과, 실제 사례로 알아보기
말로만 들으면 와닿지 않을 수 있으니, 실제 사례를 통해 리밸런싱의 효과를 확인해볼게요.
가상의 투자자 A와 B가 있다고 가정해볼게요. 두 사람 모두 1,000만 원을 가지고 주식 500만 원(50%), 채권 500만 원(50%)에 투자했어요.
1년 후, 주식은 20% 올라 600만 원이 되었고, 채권은 5% 올라 525만 원이 되었습니다. 이제 A의 자산은 총 1,125만 원이고, 주식 비중은 약 53%(600만 원), 채권 비중은 약 47%(525만 원)로 변했어요.
투자자 A: 리밸런싱을 하지 않은 경우
투자자 A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대로 두었어요. 1년이 더 지나 주식이 -10% 하락하고 채권이 3% 상승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주식: 600만 원 × 0.9 = 540만 원
채권: 525만 원 × 1.03 = 540.75만 원
총 자산: 540만 원 + 540.75만 원 = 1,080.75만 원
2년간 총 수익률: 8.075%
투자자 B: 1년마다 리밸런싱을 한 경우
투자자 B는 1년 후 자산 비율이 변했을 때 원래대로 50:50 비율로 리밸런싱을 했어요.
1년 후 총 자산: 1,125만 원
리밸런싱: 주식 562.5만 원(50%), 채권 562.5만 원(50%)
이후 1년 동안 주식이 -10% 하락하고 채권이 3% 상승했다면:
주식: 562.5만 원 × 0.9 = 506.25만 원
채권: 562.5만 원 × 1.03 = 579.38만 원
총 자산: 506.25만 원 + 579.38만 원 = 1,085.63만 원
2년간 총 수익률: 8.563%
구분 | 리밸런싱 안 함 (A) | 리밸런싱 실행 (B) |
---|---|---|
초기 투자금 | 1,000만 원 | 1,000만 원 |
1년 후 자산 | 1,125만 원 | 1,125만 원 |
2년 후 자산 | 1,080.75만 원 | 1,085.63만 원 |
2년간 수익률 |
'아는게 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직구 완벽 가이드 (0) | 2025.08.22 |
---|---|
참기름 보관방법과 유통기한 (0) | 2025.08.21 |
2강, 주식 아가방 #겸손은힘들다 (0) | 2025.08.13 |
시간관리 점검법 (0) | 2025.08.12 |
정리하세요! 일 잘하는 업무 정리법 5가지 (0) | 2025.08.11 |